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maybe와 probably의 구분

문법

by 10s 2021. 9. 16. 15:33

본문

728x90

한국어 대화에서도 

"어쩌면" "아마"는 많이 사용하는 문구입니다. 
하지만 그것을 의미하는 영어 maybe와 probably는 
거기에 포함되는 발생확률과

 그 용법에 따라 큰 차이가 있습니다.




이 둘을 잘못 사용하면 큰 오해를 낳는 경우가 있으므로

 구분을 해둘 필요가 있습니다.

maybe, perhaps, probably, possibly는
"어쩌면","아마도"라는 뜻이 있지만
다음과 같은 확률의 차이가 있습니다.

probably :70~90%
maybe:40~60%
perhaps:40~60%
probably:10~30%

위에서 숫자로 대략적인 확률을 표시했지만
어디까지나 감각적인 느낌만 표시한 것으로
이 숫자에 굳이 집착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런 느낌이다라고 파악하고 구분해 주시면 됩니다.

 

<<<뉘앙스의 차이>>>

Andy와 Amy의 대화에서

Andy :Will Mary come to the party? 

(메리는 그 파티에 올까?)




Amy :Maybe.(아마.)

이 경우 메리는 파티에 오지 않을 확률이 높아집니다.

maybe는 "혹시"라는 의미가 강한 편입니다.

 

<probably>

 

그에 비해

Andy :Will Mary come to the party? (메리는 그 파티에 올까?)

Amy :Probably.(아마.)

이 경우 메리는 파티에 올 확률이 높아집니다.

probably 는 "반드시"라는 의미가 강한편입니다.

 

<문장에서의 배치>

또한 문장의 어순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Amy :Maybe she will come.

※ maybe는 원칙적으로 문두에 배치


Amy :She will probably come.

※ probably는 원칙적으로 일반동사의 앞, Be동사 뒤에 배치

이와 같이 배치되는 위치가 달라집니다.



<<가능성을 나타내는 부사의 확률도와 문장 속 배치>>

부사                    배치 장소 (원칙)                             확률
definitely              일반 동사의 앞 / Be 동사 뒤에           100 %
probably              일반 동사의 아 / Be 동사 뒤에            60 ~ 80 %
maybe / perhaps    문두                                            20 ~ 60 %
possibly               일반 동사의 앞 / Be 동사 뒤에           10 ~ 40 %
definitely not        일반 동사의 전 / Be 동사 뒤에            0 %


그럼 예를들어
일기예보 등에서 강수확률이 60~80%로 높은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probably를 사용합니다.

probably it will rain tomorrow.
"내일 비가 올 것이다."



20~60%나 반반인 경우에는
maybe나 perhaps를 사용합니다.
Maybe / Perhaps it will rain tomorrow.

단  perhaps는 공식적인
뉘앙스가 되기 때문에 일상회화에서
날씨에 대해 이야기 할 경우 maybe를 많이 이용합니다.

참고로 10~30%정도의 확률일때에는

possibly를 사용하면 될 것이라고 생각하시지만
이 경우는 "비가 내리지 않는 것"라고 판단하고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It will not rain tomorrow.
"내일 비가 내리지 않을 것이다."

비슷한 표현도 알아봤는데요,
뇌는 관련된 정보를 함께 기억하는 것이 쉽기 때문에
동의어를 한꺼번에 기억하면 효율적으로
영어단어를 기억할 수 있습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