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관련 전치사 'at · in · on "을 제대로 구분해 사용해보자!
날짜관련 전치사 'at · in · on "을 제대로 구분해 사용해보자!
"at" "in" "on"의 구분,
한국인들은 대부분 구별하기 어렵다고
느끼시는 분들이 많지 않을까요?
오늘은 '날짜'라는 관점에 촛점을 맞추고,
이 3개의 전치사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한
기초 지식을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on"사용>
전치사 "on"의 이미지는 "접촉" 즉, 뭔가에
붙어있는 느낌을 떠올리시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먼저 달력에 스탬프를 찍거나
스티커가 붙어 있는 이미지를 한번 그려 봅시다.
●1. 날짜●
"on"은 "날짜"를 표현하는데
딱 맞는 전치사입니다!
달력의 날짜 부분에 "접촉"하고 있는 느낌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We 'll have a meeting on December 14th.
(12월 14일에 회의를 합니다.)
날짜는 다음과 같이 표현 할 수 있습니다.
on the 5th of February (2월 5일)
●2. 요일●
"요일"을 표현하는 경우에도 이
"on"이 딱 맞는 전치사입니다.
이 경우에도 달력의 요일 부분에 스탬프를 찍거나
스티커가 붙어 있는 이미지를 연상하시면 됩니다.
We 'll have a party on Sunday.
(일요일에 파티를 열 예정이야.)
요일 중에서도 시간대를 가리키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on Friday morning (금요일 아침)
on Sunday afternoon (일요일 저녁)
on Wednesday night (수요일 밤)
●3. 특정일●
「생일」나 「크리스마스」등 특정일을 가리키는 때에도
"on"이라는 전치사가 사용됩니다.
I had a great time on my birthday.
(내 생일에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on Christmas (Day) (크리스마스)
on New Year 's Eve (섣달 그믐 날에)
이어서 "at"을 설명할 때에도 소개하겠지만,
"at Christmas"라는 표현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조금 뉘앙스가
달라지니 차이점에 유의하도록 합시다.
"on Christmas (Day)"라고 하면
"12월 25일"만 의미합니다.
"on"라는 전치사의 이미지는 "접촉" 그래서 완전히 거기에
고정되어 있는 느낌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at Christmas"라고 하면
"크리스마스의 시기"를 가리키게 되므로,
반드시 "12월 25일 '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 외에도 특정일로써 「맑은 날」등
날씨를 나타내는 단어를 사용하여
말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on a sunny day (맑은 날)
on a rainy day (비오는 날)
<"in"사용 >
전치사 "in"의 이미지는 날짜가
"공간"으로 둘러싸여 있는 느낌을 떠올리시면 됩니다.
특정 날짜 1일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날짜가 많이 모여있는 일정 기간을 의미합니다.
●1. 월●
"○월 ○○했다"처럼 어느 달 중에
일어난 것 등을 말할 때 "in"을 사용합니다.
I bought a new car in June.
(6월에 새 차를 샀다.)
외에도 "in"을 사용하여 "○월 상순」
「○월 하순」등을 나타내는 표현 방법들도 있습니다.
in early November (11월 상순)
in the middle of July (7월 중순)
in late May (5월 하순)
●2. 계절●
사실 "계절"이라는 것은 몇개의
"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그것들을 둘러싼다는 이미지로
전치사 "in"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I 'd like to go to the US in spring.
(봄에 미국에 가고 싶습니다.)
●3. 년●
'월'이 12개가 모여있는 "년"이라는 '공간'안에서
일어난 것을 말할 때도 "in"을 사용하여 표현합니다.
We got married in 2000.
(우리는 2000년에 결혼했습니다.)
"○ 년 상반기", "○ 년 후반기"를 말할 때
"in "을 사용하여 이렇게 표현 할 수 있습니다.
in early 1995 (1995년 상반기)
in late 2011 (2011년 후반기)
"달"에서 "초순"등을 표현할 때 "early"또는 "late"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at"의 사용방법>
전치사 "at"는 한 지점을 "여기"라고
가리키는 이미지라고 보시면 됩니다.
"날짜"에서는 사실 이 "at"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날짜'가 몇개가 모여서 이루어져 있는
일정기간을 대략적으로 가리키는 경우에는
이 "at"가 사용됩니다. 아래에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시기●
1년 중의 행사에 관련된 시기에 관하여 말할 때
"at"을 사용합니다.
우선 예문을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I 'll go on a trip at Christmas.
(크리스마스 시기에 여행을 갈거야.)
"여기"라는 한 점을 가리키는 이미지를 가진
"at"입니다만 이렇게 사용할 때에는
조금은 이미지를 확대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문에서는 "크리스마스의 시기"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어? 그거 일정한 범위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in"을 사용해야 되는 거 아니야?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물론 그것도 그렇게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만,
전치사 "in"을 사용하여 일정 기간을 표현할 때는
「달」 「년」과 같이 구분이 명확한 경우입니다.
하지만 '크리스마스 시기'라는 것은
대략적인 시기라는
이미지가 있습니다만, 확실한 구분은 없습니다.
1년의 흐름을 생각할 때 사람마다
"이 근처"라고 가리키는 포인트가 달라집니다.
그래서 "at"을 쓰는 것입니다.
그 밖에 "○○의 시기"라는 뜻으로
아래와 같은 예들도 있습니다.
at Halloween (할로윈의시기)
at New Years (설날시기)
<결론>
오늘은 전치사 "at" "in" "on"을
"날짜"라는 관점에 촛점을 맞추고
사용법의 차이를 소개해 보았습니다.
어떠셨나요?
엄밀히 말하면, "날짜"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전치사는
"on"뿐입니다만, "날짜"에 관련한 표현을 할 때
"at" "in" "on"을 구분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조금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여러가지 사용 방법을 찾거나 의식적으로
예문을 찾아보면서 하나 하나 확실히 익혀 나갑시다!